제례의 종류

제례의 종류

0 5919 0

▣ 제례의 뜻과 종류

◑ 제례란?

조상을 추모하고 보은(報恩)하며 돌아가신 후에도 효(孝)를 다하는 신성한 의례다.  제사의 종류로는 시제(時祭), 기제(忌祭), 차례(茶禮), 묘제(墓祭), 이제(禰祭)가 있다.

◑ 제례의 종류
1. 기제(忌祭)
  • 부모, 조부모, 증조부모, 고조부모까지의 4대 제사를 각기 휘일(諱日, 사망일)의 첫새벽(子時頃)에 영위(靈位)를 모셔놓고 제사를 지내는 것을 기제사(忌祭祀)라 한다.  기일 제사는 원래 고전 예서에는 없는 것으로 후대에 이르러 기일(忌日)을 그냥 넘기기 미안한 마음에서 인정상 추가된 예일 뿐이었다.  제사는 원래 축제와 같은 길례(吉禮)였으므로 조상이 돌아 가신 슬픈 날 행하는 기일제는 제사의 본래 취지에 어긋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유독 부모의 기제사 만은 피할 수 없는 사정이 있다.
2. 차례(茶禮)
  • 절사(節祀), 다사(茶祀)라고도 한다.  원단(元旦, 1월 1일), 추석(秋夕, 음력8월 15일), 단오(端午, 음력 5월 5일), 동지(冬至, 24절기의 22번째로 보통 12월 22,3일경임. 작은 설이라고도 함.) 등의 아침에 지내는 약식 제사로서 4대조까지를 동시에 지낸다.추석 대신에 음력 9월 9일(重陽節)에 지내는 수도 있고 단오나 동지의 시제는 근간 대부분 지내지 않는다.
3. 세제(歲祭)
  • 묘사(墓祀), 묘제라고도 하여 음력 시월 보름날[하원]에 지내지만 지방, 문중에 따라 10월중 적당일에 시조(始祖)이하 전조상님들을 한꺼번에 모시고 지내는 제사이다.  모든 후손들이 모여 가문과 조상을 음덕을 자랑삼고 문중 친족의 역사와 명예를 다지는 교육의 도량이 되기도 한다.이때에는 토지신과 산신에 대한 제도 겸한다.
4. 사시제(四時祭)
  • 철에 따라 지내는 제사로 음력 2, 5, 8, 11월의 상순의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을 택해 지낸다.옛날에는 정제(正祭)라 하여 가장 중요시했다.춘하추동 4계절에 한 번씩 고조이하 조상을 함께 제사하던 합동 제사의 하나로써, 주공(周公)이 예를 정할 때부터 있던 제도이며 가장 중요시되었으나, 조선시대 이후 기제사가 중요시되면서 시제의 중요성이 점차 퇴색되어 갔다.
5. 한식(寒食) 성묘
  • 청명(淸明) 다음의 절기로 동짓날로부터 105일째 되는 날로 보통 4월 4일, 5일 경이다.예전에는 이날 조상께 제사를 올리고 성묘했다.집에서 제사를 모셨을 때는 묘제는 생략한다.묘제는 설날(또는 청명), 한식, 단오, 추석 등 네 번 지냈다.개자추의 전설이 전하고 있다.
6. 이제(禰祭)
  • 음력 9월 계추(季秋)에 돌아가신 부모를 위해 지내던 제사다.전달 하순 제일(祭日)을 택해 지냈으나 일반적으로 시행하지 않는다.

0 Comments
제목
등록된 이벤트가 없습니다.
063-633-5745
010-2608-5891
월 ~ 일: 24시간 상담 가능

무통장 입금 안내

국민 507-21-0417-553
농협 513014-52-098747
예금주 강신석
Facebook Twitter GooglePlus KakaoStory KakaoTalk NaverBand